안드로이드 폰의 USB 디버깅을 위한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앱 개발에 필수 요소이기 때문에 꼭 필요한 방법입니다.
우선 USB 디버깅을 활성화합니다!
USB 디버깅은 안드로이드 폰의 개발자 옵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한국에서 안드로이드 폰은 대부분 갤럭시 일테니 갤럭시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로 들어갑니다.
들어가면 위와 같이 빌드번호가 있는데, 빌드번호를 여러 차례 클릭해 줍니다.
클릭하다 보면 토스트로 "개발 설정 완료 3단계 전입니다." "개발 설정 완료 2단계 전입니다." "개발 설정 완료 1단계 전입니다." "개발자 모드를 켰습니다." 가 보이는데 다 누르면 알아서
설정에 개발자 옵션 메뉴가 보이기 시작합니다.(7번 정도 클릭하면 된다고 함. 걍 눌러!)
나중에 개발자 옵션을 안 보이게 하려면 개발자 옵션 들어가서 사용 안함으로 선택하면 됩니다.
개발자 옵션에 들어가면 유용한 메뉴들이 많이 있습니다.
USB 디버깅을 할 때 폰과 연동되므로 화면 켜짐 상태 유지를 활성화 해주고, 아래로 가면 USB 디버깅도 활성화 해주면 이제 디버깅을 위한 사전 준비가 완료됩니다. (시스템 자동 업데이트는 안 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쉽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최신 갤럭시 폰(내 폰 galaxy s24+)에서는 보안을 위해 초기에 설정되는 옵션이 있습니다.
그 옵션을 해제해야 USB 디버깅 옵션을 활성화 할 수 있는데, 아래 옵션을 먼저 비활성화 해주고 됩니다. USB 디버깅을 활성화하면 됩니다. (설정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보안위험 자동차단)
안드로이드 14 미만 버전에서는 해당 메뉴가 확인되지 않는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그 이상 버전에서만 있는 이슈입니다.
이제 USB 연결하시면 개발 도구가 USB 통해서 실물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작업할 수 있습니다 🔥
USB 디버깅을 하려면 필수로 설치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ADB(Android Debug Bridge)입니다!
이름부터 디버깅을 위한 녀석이죠.
이제 아래와 같이 명령하며 연결된 기기를 확인하며 다른 시도들을 이어갑시다!
# Mac의 경우 Homebrew를 통해 설치
brew install android-platform-tools
# 버전 체크 및 설치 확인
adb --version
# 연결 기기 확인
adb devices
이제 앱 개발을 위해 안드로이드 폰과 맥북을 USB 디버깅을 통해 성공적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알게 됐습니다!
앱 개발을 시작하는 분들이 시작부터 스트레스 받지 않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Windows 방화벽 로그 확인 및 접속 위치 확인하는 방법 (0) | 2024.09.27 |
---|---|
Windows 에서 IP 접속 통제 및 로그 확인하는 법(방화벽) (0) | 2024.09.27 |
Golang에는 Set이 없어요... (0) | 2024.08.29 |
CrowdStrike BSOD 에러 수정(cloud) (0) | 2024.07.25 |
Pre-Trained AI를 활용해 Serverless로 Image 에서 Text Extractor 및 Translator 구축하기 (1) | 2024.07.16 |
댓글 영역